한강, 인류의 취약성을 탐구하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다
1 min read이미지 출처:https://www.latimes.com/opinion/story/2024-12-20/han-kang-nobel-prize-south-korea-martial-law
10월, 노벨 위원회가 한강을 “인간 삶의 취약성”을 탐구하는 그녀의 작품으로 인정했을 때, 그 주제가 불과 두 달 후 한국에서 얼마나 적절하게 느껴질지를 알 수 없었다.
한강은 한국 작가로는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그녀는 오랫동안 폭력의 피해자 존재에 관심을 가져 왔으며, 이는 “여보세요 소년”(영어 제목: “인간의 법칙”)에서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의 맥락과, “안녕도 없이”(영어 제목: “우리는 작별하지 않는다”)에서 1948-49년 제주 항쟁을 통해 탐구되었다.
역사적 트라우마를 드러내고 한국 현대사에 깊은 상처를 남긴 사건들을 기억하고 치유하고자 한 소설가의 노력이 엿보인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트라우마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12월 3일, 권력 투쟁의 일환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하며 수백 명의 군인을 국회를 둘러싸고 선거관리위원회를 급습하게 했다.
의원들은 약 6시간 만에 민간 통제를 회복했으며, 큰 폭력 없이 대통령 탄핵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한강의 작품은 문학이 이러한 순간들로부터 어떻게 한 나라를 앞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녀는 제도와 역사를 비판하며 우리 사람들을 이해하고 희망을 주고자 한다.
한강은 지역과 보편, 국가와 세계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이를 이루어낸다.
제임스 조이스는 “나는 항상 더블린에 대해 쓰고 있다. 왜냐하면 더블린의 핵심을 이해하면 세계의 어떤 도시의 핵심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정성과 보편성이 그 안에 있다.”라고 말했다.
한강은 한국의 가족 관계, 폭력 및 민주 운동의 특정성 속에서 보편성을 찾아냈다.
그녀의 수상은 한국 문학이 세계화되는 길은 추상적인 보편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한국의 현실의 뿌리를 탐구하는 데 있음을 확인해준다.
봉준호의 영화 “기생충”과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또한 비슷한 문화적 맥락에서 기인하며, 한국 사회의 지역적 특성을 통해 현재 인류 문명의 단면을 드러냈다.
나는 한강의 작품이 시적인 문체로 표현된 독특한 힘을 가지며, 그 힘은 한국 문학 전통에서 강하게 제정된 구속과 규범에서 벗어나는 능력에 있다고 믿는다.
우수한 문학의 기준은 특정성과 차별성을 보여주는 것인데, 이러한 차별성과 특정성은 작가의 개인적 역량뿐만 아니라, 그녀가 속한 국가와 언어의 문화적 역량의 축적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한강의 수상은 지난 10년 동안 한국 문화의 부상을 기념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한국의 파급력을 전 세계에 널리 알려준 한국의 물결(K-Culture)의 확산과 성장은 한국 영화와 드라마가 권위 있는 국제 예술상에서 수상하는 등 많은 이목을 끌었다.
BTS를 포함한 대중 음악은 나라의 영향을 세계에 퍼뜨리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이 문화적 목소리의 축적 없이는 가능하지 않다.
노벨 수상은 한강의 작업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전 세계 독자들을 끌어들일 것이다.
2016년에 영어로 출간된 “채식주의자”와 오는 1월에 있을 “우리는 작별하지 않는다”의 영어 번역이 좋은 예다.
이 상은 한국 문학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한강의 소설을 탐구하는 이들은 곧 그녀의 이야기들이 표면적인 오락에서 멀어져 있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
그녀의 이야기들은 사람들과 세상에 대한 깊은 성찰과 세심한 독서를 요구한다.
그녀의 작품이 인기를 얻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것은 늘 안전한 내기는 아니었지만, 그만큼의 노력을 기울일 경우 결과에는 만족할 것이다.
한강의 글을 탐구하며 한국의 소식을 따르는 독자들은 지금 한국이 겪고 있는 이상한 불일치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우리 과거를 탐구한 노벨 수상자를 기념하고 있지만, 동시에 쿠데타, 계엄령, 국가 폭력이라는 위협을 새롭게 느끼고 있다.
한강은 그녀의 수상 연설에서 “인간이 어떻게 이렇게 폭력적일 수 있는가?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이런 압도적인 폭력에 반대할 수 있을 것인가? 인간이라는 종에 속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러한 두 가지 인간의 공포와 존엄 사이의 비어 있는 공간을 통해 불가능한 길을 협상하기 위해 나는 죽은 자들의 도움을 필요로 했다.”고 말했다.
12월의 사건은 한국 민주주의가 실제로 죽은 자들의 도움과 한강 같은 생존하는 예술가들, 그리고 전 세계의 동맹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