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ril 5, 2025

미국의 비관은 경제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적인 것이다.

1 min read

이미지 출처:https://www.theurbanist.org/2023/12/15/americas-pessimism-isnt-economic-stupid-its-human/

한국인들의 미국 비관주의, 경제 전문가들이 피부에 닿는 이유

미국, 2023년 12월 15일 – 최근 미국의 경제 체감 지수가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이러한 비관주의가 경제적 미숙보다는 인간적인 이유에 기인한다고 분석하였다.

지난 주 도시계획 전문 매체 ‘얼바니스트’는 “미국의 비관주의는 경제적인 어리석음이 아니라 인간성에 기인한다”란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이 기사는 향후 수년 동안 경제 예측 전문가인 존 슈티로 교수와 그의 팀이 수행한 연구 결과를 인용하고 있다.

미국인들은 현재 경제적인 불황에 시달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체감 지수가 매우 낮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분석은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한 비관주의가 아닌 인간적인 이유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번 연구를 이끈 존 슈티로 교수는 “이러한 비관주의가 경제적인 지능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다”라며 “실제로, 이는 인간들이 외부 상황에 대해 더 감수성이나 감정을 갖는 경향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실제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제적인 문제에 직면한 미국인들은 외부로부터 받는 영향에 더 쉽게 노출되며, 음의 영향을 받음에 따라 비관적인 마인드로 빠지기 쉽다는 것이다. 즉, 경제적인 어려움은 그들의 일상 생활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에 추가로 교수는 “경제적인 상황이 개선되더라도, 사람들의 비관주의는 즉시 사라지지 않을 수 있다”라면서 “개인의 심리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경제상의 변동성을 예측하고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사회학자들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미국 사회학 협회 소속 다윗 존슨은 미국의 개별적인 경제 인식이 분명하다면, 사회적 간극으로 인해 경제적인 문제들이 한국인들보다 미국인들 사이에서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제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도 중요하지만, 경제 상황이 주어진 사회의 모든 계층에게 공평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경제 체감 지수 하락에 대한 이 연구 결과는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와 관련된 당국들은 이를 통해 사회 심리와 경제의 상호작용에 대해 더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성을 인식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경제의 안전과 안정성을 위해 이러한 사회적 요소들을 고려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이루어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